췌장 신경내분비종양(NETs) 유형별 예후 및 치료 전략

췌장 NETs(Neuroendocrine Tumors)는 발생 빈도는 낮지만 진단과 치료에 있어 매우 세심한 접근이 요구되는 질환입니다. 특히 기능성 여부, 분화도, 종양 크기, 전이 상태 등에 따라 예후와 치료 전략이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에, 각 요소를 면밀히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췌장 NETs 분류 및 예후 결정 요인
(1) 기능성 vs 비기능성 종양
유형 | 특징 | 5년 생존율 |
---|---|---|
기능성 | 인슐린종, 가스트린종 등 호르몬 과다분비 증상 | 80~100% (조기 진단 시) |
비기능성 | 무증상, 종괴 효과로 우연히 발견 | 65~75% (전이 시 25~40%) |
(2) WHO 분화도 등급
등급 | 세포분열 수 (10HPF) | Ki-67 지수 | 5년 생존율 |
---|---|---|---|
G1 | ≤2 | ≤2% | 95% |
G2 | 2~20 | 3~20% | 85% |
G3 | >20 | >20% | 50% 이하 |
2. 치료 전략: 종양 상태별 접근법
(1) 수술 가능한 국소성 종양
- 기능성 종양: 인슐린종은 2cm 미만 시 부분 절제술 가능, 가스트린종은 위치 따라 광범위 절제 고려
- 비기능성 종양: 1~2cm 크기에서도 림프절 전이 가능성 10% 이상 → 적극적 수술 권장
- 무병 생존율: 수술 후 5년 무병 생존율 86.5%
(2) 진행성 또는 전이성 종양
치료 옵션 | 적용 대상 | 주요 효과 |
---|---|---|
소마토스타틴 유사체 | 기능성 증후군 조절 | 증상 조절률 60~70% |
에베롤리무스 (mTOR 억제제) | G1/G2 고분화 NETs | 무진행 생존기간 11개월 |
수니티닙 | 진행성 췌장 NETs | 무진행 생존기간 11.4개월 |
화학요법 | G3 고등급 NEC | 반응률 60~70% |
간 전이 치료 | 다발성 간 전이 | 고주파 절제술, 색전술, SIRT 등 |
3. 최신 치료 트렌드 (2025년 기준)
- PRRT (펩타이드 수용체 방사성동위원소 치료): 루테튬-177 적용 시 종양 반응률 30%
- 면역치료: PD-1/PD-L1 억제제 임상 진행 중, G3 NEC 대상
- 유전자 기반 정밀 치료: MEN1, DAXX/ATRX 변이 기반 맞춤형 치료 강화
4.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
병리학적 요인
- G3 등급일수록 예후 악화
- Ki-67 지수 ≥5%이면 재발 가능성 ↑
임상적 요인
- 종양 크기 2cm 이상 시 림프절 전이율 약 20%
- 간 전이 시 생존율 절반으로 감소
치료 반응 관련 요인
- 수술 후 잔존 종양 존재 시 재발률 3배 증가
췌장 NETs는 '기능성 여부 + 분화도 + 크기 + 전이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치료 전략이 필수입니다.
결론 및 전문가 인사이트
췌장 신경내분비종양은 조기 진단 시 수술만으로 완치를 기대할 수 있으나, 고등급이나 전이 상태에서는 mTOR 억제제, 혈관신생억제제, PRRT 등 다양한 치료법의 병용이 필요합니다. 특히 최근에는 유전자 패널을 이용한 맞춤형 치료가 주목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예후 개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한 크기 기준보다는 조직학적 등급, Ki-67 지수, 전이 유무, 유전자 변이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치료 전략을 수립해야 하며, 이를 위해 다학제적 접근이 필수입니다.
'건강알리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땀띠, 그냥 지나치면 안 되는 이유 (0) | 2025.05.15 |
---|---|
간 전이 신경내분비종양(NETs)의 최신 치료 전략 (2025년 기준) (0) | 2025.05.14 |
폐 신경내분비종양(NETs)의 병리학적 특징 (0) | 2025.05.14 |
남성 갱년기 진단, 병원에서는 이렇게 합니다 (0) | 2025.05.13 |
남성 갱년기 진단 설문, MASS-Q와 AMS 완벽 비교 (0)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