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알리미

안검하수의 진단 기준과 치료 결정 과정

안검하수의 진단 기준과 치료 결정 과정

안검하수 관련 이미지

눈꺼풀이 처져 눈을 제대로 뜨지 못하는 상태, 즉 안검하수(ptosis)는 단순 미용상의 문제가 아니라 기능적, 의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질환입니다. 이 글에서는 안검하수의 정확한 진단 기준과 치료 결정을 어떻게 내리는지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안검하수란 무엇인가?

안검하수는 윗눈꺼풀이 정상 위치보다 아래로 처진 상태를 말하며, 동공을 가리거나 시야를 제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부분 상안검거근(levator palpebrae muscle)의 기능 저하에 의해 발생하며, 선천적 원인과 후천적 원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안검하수의 진단 기준

의학적으로 안검하수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명확한 기준을 사용합니다. 다음은 대표적인 진단 요소입니다.

진단 항목 기준 수치 설명
MRD1 (Marginal Reflex Distance 1) 2.0mm 이하 검열 중앙에서 눈꺼풀 끝까지의 거리 측정
Levator Function 4mm 이하 상안검거근의 움직임 범위
동공 피개 여부 피개 시 진단 필요 시야 방해 여부 확인

이외에도 양측 비교, 안검 위치의 비대칭, 눈썹 위치 및 이마 근육 사용 여부 등도 진단에 참고됩니다.

안검하수 치료 결정 과정

치료는 단순히 눈꺼풀이 내려온다고 해서 바로 결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기능적 필요성과 환자의 주관적 불편감, 그리고 의학적 평가 결과가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 1단계: 기능 평가 – 시야 방해 여부, 눈 피로감 등 기능적 문제를 우선 확인
  • 2단계: 정량적 측정 – MRD1, 거근 기능 측정 등으로 객관화
  • 3단계: 환자 기대치 확인 – 미용적 만족도, 수술 후 기대 등을 상담
  • 4단계: 치료 방법 결정 – 절개 vs. 비절개, 근육 전이 등 선택

치료 방법의 선택 기준

다양한 수술적 치료 방법 중 어떤 방식을 선택할지는 거근 기능과 증상의 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기능 수준 추천 수술 방법 비고
좋음 (8mm 이상) 절개식 전안검거근 단축술 효과 지속성 우수
중간 (5~7mm) 비절개식 매몰법 또는 절개술 환자 상태에 따라 결정
나쁨 (4mm 이하) 전두근 이식술 이마 근육 사용 보완

 정확한 진단 없이 수술을 결정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꼭 안과 또는 성형외과 전문의의 평가를 받아야 합니다.

맺음말

안검하수는 단순히 눈꺼풀 모양의 문제가 아닌 의료적 처치가 필요한 증상일 수 있습니다. 치료를 고려할 때는 본인의 불편감과 의학적 진단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반드시 전문의의 상담과 평가를 거쳐 적절한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신다면, 스스로의 눈 상태에 대해 궁금증이나 불편함이 있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진료를 예약하거나, 가까운 전문의에게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